[스크랩] 나 전달법 지난 목요일 독서에 관한 교육에 참석하기 위해 우리 교회에서 차로 한 40분 정도 걸리는 거리에 위치한 삼호제일교회로 아내와 함께 출발하였다. 동기 목사님이 그 교회에 시무하고 있어서 이전에도 몇 차례 다녀오긴 했지만 지리에 워낙 눈이 어두워 그날도 찾아가는데 좀 해메지 않을까 하는 생각.. 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2007.09.12
[스크랩] 나-전달법 나-전달법 표현의 원리 자녀가 고민할 때 도와주려고 쓰는 말들도 대부분 걸림돌이지만 자녀의 행동을 수용할 수 없을 때 더더욱 걸림돌을 단골로 씁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익숙해져 있어 쉽고 간단하며 청소를 잘 하지 않고 늘 어지럽히는 자녀에게. "얘! 이제 그만 놀고 방 좀 깨끗이 치워!" "너 당장 .. 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2007.09.12
[스크랩] 나전달법과 너전달법 이것은 부모의 피곤함을 나타내는 매우 빈약한 부호이다. 명확하고 정확한 부호는 항상 나 전달법의 부호여야 한다. 즉, '나는 피곤하다', '나는 놀고 싶지가 않다', '나는 쉬고 싶다'는 의식이 되어야 한다. 이것은 지금 부모가 경험하고 있는 것을 전달하고 있다. 너 전달법의 부호는 감정을 전달하지 .. 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2007.09.12
[스크랩] 나전달법 예제 의사소통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혼부부의 대부분이 의사소통이 안되는걸로 나타났고 노사문제도 어쩌면 의사소통이 안 되어서 기인한 것이다. 의사소통에는 여러기법이 있지만 나 전달법만 잘해도 상대방을 변화시키 큰 위력이 있다. 원리로는 1. 어떤 상황에서 상대방을 비.. 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2007.09.12
[스크랩] 나전달법 실제 흔히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수평관계가 아닌 수직관계를 이룬다. 아이의 느낌이나 감정은 무시되어 존중받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며, 특히 잘못된 행동을 꾸짖을 때는 아이의 실망스런 행동에 대한 부모의 격한 감정이 우선 되어 아이의 감정은 전혀 고려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반복되는 .. 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2007.09.12
[스크랩] 신뢰 쌓기: 나 - 전달법 최근 새로 출간 예정인 신간에 실린 추천 서문을 미리 받아봤습니다. 소프트웨어 공학 부문에서 너무나도 유명한 톰 드마르코가 쓴 이 추천 서문을 읽다가 갑자기 저는 무릎을 탁 치고 말았습니다. 왜나하면 저도 비록 길지는 않지만 인생을 살아오면서 이런 생각을 여러 차례 해봤기 때문입니다. Our e.. 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2007.09.12
[스크랩] 나전달법-유아 둘째, 나 - 전달법을 사용합시다 유아가 그릇된 행동을 자꾸 반복할 때 '나 - 전달법'을 사용한다. 이때의 목소리는 조용하나 단호한 목소리로 표현할 때에 가장 효과적이다. 화가 났을 때는 '나 - 전달법' 사용을 반드시 피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영진이가 벽에 낙서를 잘한다고 합시다. 이 때 적절한 .. 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2007.09.12
[스크랩] 자녀를 훈육할 때 "나 전달법"으로 표현하세요! '나' - 전달법이란 P.E.T 창시자인 토마스 고든(Thomas Cordon)에 의하여 창시된 용어로서 놀라운 효과를 가져오는 의사소통 방법이다. '나' - 전달법은 자녀에게 '네가 잘못했다'라는 관점의 전통적인 방법을 지양하고, 그 대신에 자녀의 행동에 대하여 부모인 '내가 어떻게 느끼는가'를 말함으로써 촛점을 .. 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2007.09.12
[스크랩] 긍정적 나 전달법 긍정적 나 전달법 긍정적 나 전달법이란 상대방이 나에게 은혜 베풀어준 일 등에 대해 감사하다는 긍정적인 감정을 상대에게 나 전달법 방식으로 전하는 대화법이다. 나를 어떻게 전달하느냐가 인간관계의 지속성과 마음의 본질을 전하는 중요한 프레젠테이션이다. 프레젠테이션의 긍극적인 목적은 .. 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2007.09.12
[스크랩] 부모교육론중-나전달법에 관해... 나-전달법 (i-message) 자녀의 행동이 부모 마음에 들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됐을 때, 부모는 불편을 느끼고 따라서 부모, 자녀간에 문제를 갖게 된다. 예를 들면 자녀가 실내에서 뛰다가 엄마의 옆구리를 쳐서 엄마가 아플 때, `조용히 앉아서 놀아.' `너 왜 이러니.' `집안에서 뛰면 안 된다고 .. 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2007.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