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화-커뮤니케이션

[스크랩] 자존감과 의사소통

맑은샘77 2010. 4. 21. 14:51
 

자존감과 의사소통(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

의사소통은 화자와 청자가 모두 중요하다.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누구나 화자인 동시에 청자가 된다. 그러나 우선적으로 사티어가 말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발화자가 준비할 상항을 알아보자

1. 의사소통에는 자존감 향상이 중요하다.

인간관계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적절한 의사소통은 서로의 자존감을 높여 주어서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는 서로가 자존감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건강한 의사소통이 좋은 가족 관계를 형성하는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자존감의 향상 없이는 효과적인 관계 개선에 한계가 있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가 지지하듯, 버지니아 싸티어는 의사소통이 자존감과 아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사티어가 의사소통과 자존감의 관계를 강조하게 된 까닭은, 수많은 가족들을 상담하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갖고 있는 핵심적인 문제가 바로 낮은 자존감과 부적절한 의사소통이라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2. 자존감이란

자존감이란 쉽게 말하면 자신의 가치에 대해 스스로 내리는 판단, 신념, 느낌, 이미지이며, 행동으로 들어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일차적인 사회적 환경을 제공하는 가족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된다. 성격심리학자인 알프레드 아드러(Alfred Adler)와 그의 w[자들은 어린아이는 가족 내에서 자기 존재의 중요성을 추구하고 가족으로부터 배운 의식적, 무의식적 삶의 양식을 가지고 세상에서 대처하면서 살아간다고 했다. 인간은 누구나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무엇보다도 먼저 자기를 구축한다. 내가 누구인지, 내가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지, 세상이 나에게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지 대한 가치관 등을 형성하게 된다. 자존감은 이러한 것들을 포함한 자신에 대한 정서적, 인지적 평가라고 할 수 있다.


3. 자존감을 높은 사람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에게 대한 인식이 분명하고,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내적 일괄성을 가지고 잇기 때문에 외부 환경이나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


4. 자존감이 낮은 사람

 그러나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기를 솔직하게 들어내기를 두려워하고, 외부 환경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고 쉽게 좌절하며, 자신감이 부족하여 결정 내리는 것을 무척 어려워한다. 또한 자기 잘못을 인정하기 힘들어하고, 자기가 항상 옳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다른 사라 용서하는 것을 무엇보다도 힘겨워한다. 지나치게 어떤 것에 몰두한다거나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해 비관적이고 완벽주이적인 태도를 갖는 것, 현실을 도피하려 하는 성향 등도 자신감이 낮은 사람의 특성에 속한다.


5. 말은 입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고 몸 전체로 하는 것

말을 할 때마다 당신의 전체가 말을 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당신이 말을 할 때마다 당신의 얼굴, 음성, 몸, 숨, 그리고 근육 역시 말을 하는 것이다.


의사소통 방식은 가족으로부터 크게 영향 받는다.

의사소통 방식을 포함하여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여러 생존 방식을 가족으로부터 배운다. 그런데 그 가족이 건강하지 못할 경우, 가족 구성원들이 배우는 의사 소통방식과 생존방식은 부절적할 수밖에 없다.

한 가지 예로 지극히 권위적인 부모 밑에서 자란 자녀들을 생각해 보자. 그들이 커서 부모가 되었을 때 자기 자녀를 어떻게 양육하겠는가? 방임하거나 아니면 자기 부모가 했던 방식으로 부모에게 절대적으로 복종하는 아이로 키우려 할 것이다. 이러한 부모들은 자녀를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면서 그들의 독특한 특성을 존중하기 보다는 부모인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자녀들이 이 세상을 경험하기를 바란다. 그래서 자녀들이 자발적으로 느끼고 생각하고 바라는 것들을 표현하고 성취하면서 인간의 보편적인 열망 사랑하고 싶고, 사랑받고 싶고, 수용 받고 싶고, 힘을 키우고 싶고, 자유롭고 싶고, 삶의 의미와 목적을 갖고 싶은 열망-을 충족시키며 살도록 도와주지 못하고, 오히려 부모인 자신들이 갖고 잇는 기준에 맞추어서 살아가도록 여러 모양으로 강요를 한다.

출처 : 허정
글쓴이 : 미가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