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문화

[스크랩] 儒林 707. 제6부 理氣互發說 제2장 四端七情論 53

맑은샘77 2007. 10. 31. 01:04

그러므로 퇴계의 ‘이기이원론’은 바로 주자의 ‘이기이원론’에서 파생되었지만 주자의 이기론과는 다른 특징, 즉 말을 타고 가는 사람은 목적지로 가는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이러한 이발(理發)은 선(善)이고, 그러나 말의 의지인 기는 사람의 의지에 따르지 않으면 길을 잘 못 들기 때문에 이러한 기발(氣發)은 악(惡)이므로 마땅히 귀한 이로써 천한 기를 수양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사상을 담고 있어 주자의 ‘이기이원론’보다 분명하게 이와 기를 이원화시킬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훗날 이러한 퇴계의 ‘이기이원론’에 대해서 율곡은 ‘퇴계의 병통은 오로지 이기호발(理氣互發)에 있으니, 참으로 애석하도다.’라고 평가하고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을 주장하였다.

 

율곡이 주장한 ‘이기일원론’의 요지 역시 퇴계의 ‘사람과 말’의 비유에서 비롯되고 있으니, 퇴계가 제기한 ‘사람과 말’의 유니크한 비유는 우리나라 철학사상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된 셈인 것이다.

 

율곡은 퇴계의 비유를 다음과 같이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또 사람이 말을 탄 것에 비유하면 사람은 곧 성(性)이요, 말은 곧 기질이니, 말의 성질이 양순하기도 하고 난폭하기도 한 것은 기품의 성질로 인한 차이인 것이다. 문을 나설 때에는 혹 말이 사람의 뜻에 따라 가는 경우도 있고, 혹 사람이 말의 다리만 믿고 그대로 나서는 경우도 있다. 말이 사람의 뜻에 따라 나가는 경우에는 사람이 주(主)가 되는 곧 도심(道心)이요, 사람이 말의 다리만 믿고 그대로 나아가는 경우에는 말이 주(主)가 되니, 곧 인심(人心)이다. 문 앞의 길은 사물이 마땅히 가야 할 길이니, 사람이 말을 타고 문을 나서지 않았을 때에는 사람이 말의 다리를 믿을 것인지, 말이 사람의 뜻을 따를지 양쪽 다 그 단서를 볼 수 없으니, 이것은 도심과 인심이 본래에는 아무런 상대적인 묘맥(苗脈)이 없는 것과 같다.…”

 

율곡의 비난은 퇴계가 주장하였던 말의 몸은 문제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오직 사람과 말의 의지만을 집약시킨 수양론에 대한 비판이었다.

 

어쨌든 문밖의 목적지로 달리는 것은 사람의 의지도 아니고 말의 의지도 아닌 말의 몸, 그 자체이므로 사람의 의지인 이와 말의 의지인 기로 이분화시키는 것은 ‘명칭과 이치를 모두 잃어버려 학설이 될 수 없음(名理俱失 不成說話矣).’이라고 주장하였던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퇴계로부터 ‘사람과 말’의 비유로써 답장을 받았던 고봉 자신도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유로써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 한 가지 저도 말로써 비유하겠습니다. 두 사람이 각자의 있는 짐을 한 마리의 말에 함께 실어 몰고 가고 있었습니다. 그 짐이 쏠리지 않기가 어려우니 길을 가다 흔들려서 왼쪽 짐은 처지고 오른쪽 짐은 올라갈 것입니다. 동쪽 사람이 자기 짐이 떨어질까 하여 밑에서 떠받쳐 올리면 도리어 서쪽으로 기울어지게 될 것입니다. 서쪽 사람은 자기 짐을 처지게 했다고 화를 내며 다시 힘을 다해 자기 짐을 떠받치면 또 동쪽으로 처지게 될 것입니다. 계속 이와 같이 하면 그 짐은 끝내 평형을 이루지 못하고 한쪽으로 기울어져 마침내 말은 뒤집히게 될 것입니다. 그러니 두 사람은 마음과 힘을 합쳐 동시에 짐을 떠받쳐 올리거나 혹은 실은 짐이 한쪽으로 쏠렸으면 적당히 옮겨 싣는 것이 낫습니다.…”

 

자료출처 : 서울신문

출처 : 느린나라
글쓴이 : 黑面書生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