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료/성경공부

아사왕이 종교개혁을 포기한 이유

맑은샘77 2017. 8. 31. 11:03

아사왕이 종교개혁을 포기한 이유

아사가 그의 조상 다윗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여 남색하는 자를 그 땅에서 쫓아내고 그의 조상들이 지은 모든 우상을 없애고 또 그의 어머니 마아가가 혐오스러운 아세라 상을 만들었으므로 태후의 위를 폐하고 그 우상을 찍어 기드론 시냇가에서 불살랐으나 다만 산당은 없애지 아니하니라 그러나 아사의 마음이 일평생 여호와 앞에 온전하였으며 그가 그의 아버지가 성별한 것과 자기가 성별한 것을 여호와의 성전에 받들어 드렸으니 곧 은과 금과 그릇들이더라(왕상 15:11-15)
    
꼭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모든 나라의 국왕은 단순히 권력을 유지하고 그것을 향유하는 존재가 아닙니다. 오히려 국왕의 자리는 정책을 결정하고 외교에 힘을 쓰며 자신의 왕권과 국가 자체를 지키기 위해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만 하는 자리입니다. 물론 권력투쟁을 할 수도 있고 형제들과 같은 왕족을 살해하는 방법으로 왕권을 지킬 수도 있지만 왕위를 위해서 선택해야 하는 부분이 상당히 많은 것 또한 사실입니다.
    


국왕은 자신이 위에 서 있는 동안 어떠한 형태로 자신의 왕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강화하기 위해서 그리고 국가의 살림을 늘리기 위해서 국가를 존속시키기 위해서, 어떤 나라와 외교를 단절하고 어떤 나라와 외교를 지속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하는 존재입니다. 그렇기에 단순히 국왕의 잘못으로 국가가 망했다라고 말하기 이전에 국왕이 어떠한 선택을 했는지, 어떤 선택을 하지 않았는지에 대해서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사왕은 아버지 아비얌과 할아버지 르호보암의 사례를 참고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참고한 결과가 하나님을 섬기는 것으로 정책을 결정하자로 이어졌을 것입니다. 그의 행보는 거침이 없습니다. 어머니인 마아가가 우상숭배를 하자 어머니를 폐위시키고 아세라 상을 부셔버립니다. 남색하는 자를 내쫓고 여호와 하나님만 섬기도록 백성들을 독려합니다. 산당을 그대로 놔두기는 했지만 분명히 그의 행보는 하나님을 섬기는 왕으로서의 모습을 제대로 갖추고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의 왕 바아사가 유다를 치러 올라와서 라마를 건축하여 사람을 유다 왕 아사와 왕래하지 못하게 하려 한지라 아사가 여호와의 성전 곳간과 왕궁 곳간에 남은 은금을 모두 가져다가 그 신하의 손에 넘겨 다메섹에 거주하고 있는 아람의 왕 헤시온의 손자 다브림몬의 아들 벤하닷에게 보내며 이르되 나와 당신 사이에 약조가 있고 내 아버지와 당신의 아버지 사이에도 있었느니라 내가 당신에게 은금 예물을 보냈으니 와서 이스라엘의 왕 바아사와 세운 약조를 깨뜨려서 그가 나를 떠나게 하라 하매 벤하닷이 아사 왕의 말을 듣고 그의 군대 지휘관들을 보내 이스라엘 성읍들을 치되 이욘과 단과 아벨벧마아가와 긴네렛 온 땅과 납달리 온 땅을 쳤더니 바아사가 듣고 라마를 건축하는 일을 중단하고 디르사에 거주하니라(왕상 15:17-21)
    
그런데 그러한 그에게 문제가 생겼습니다. 바로 북방 이스라엘의 왕 바아사가 쳐들어온 것입니다. 바아사는 라마를 건축하였는데 그곳이 교통의 요충지이다보니 아사 입장에서 아니 남유다 입장에서는 목숨줄이 막히는 것처럼 느껴졌을 것입니다. 아사왕은 바아사가 쳐들어 오기 이전까지 하나님을 온전히 섬겼습니다. 아니 온전히 섬겼다고 스스로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바아사는 자신을 공격해왔고 하나님은 막아주셔야 하는데 아무 소식이 없습니다.
    


아사왕은 하나님께서 빨리 해결책을 주셔야 하는데 그 해결책이 나올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라고 생각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종교개혁은 바아사가 쳐들어온 이후에 완전히 끝이 났고 아사왕은 더 이상 하나님을 의뢰하기보다는 세상의 방법, 인간 왕국이 취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나섭니다. 아사왕은 왕궁의 보물뿐 아니라 성전에 바친 보물들을 모두 다메섹의 왕 벤하닷에게 보냅니다. 그리고 자신을 보호해달라고 요청을 한 것입니다.
   
벤하닷은 아사왕의 부탁을 거절하지 않고 직접 군대를 거느려 북이스라엘의 요충지를 쳤고 결국 남유다를 틀어막으려고 했던 바아사는 벤하닷을 방어하기 위해서 떠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라마의 바아사가 쌓아놓은 석재들과 목재들을 이동시켜 베냐민 땅의 게바와 미스바를 건축합니다. 아사왕이 그 역사를 이끌면서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요. 아사왕 입장에서는 혹시 지금까지 하나님을 섬긴 것, 종교 개혁했던 것이 쓸데가 없다고 생각하지 않았을까요.
   
아사왕은 결국 하나님을 떠나버립니다. 바아사가 쳐들어올 때까지 하나님을 전심으로 섬겼던 그는 환란 가운데서 하나님의 도우심이 자신이 원하는대로 들어오지 않자 하나님을 버려버린 것입니다. 지금까지 자신이 속았다고 진심으로 생각했을 가능성이 충분히 높다고 봅니다. 결국 아사왕은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았다라고 자신을 질책하는 선지자 하나니를 가두고 발병이 들었을 때에 하나님께 의뢰하지 않고 의원을 의뢰하게 됩니다.
  


하나님을 의지한다라는 것은 단순히 하나님 제가 이렇게 하나님을 섬기겠으니 하나님 저에게 제가 원하는 것을 주시옵소서라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하나님 주님께서 제게 어떠한 것도 주지 않으실지라도 하나님만 섬기겠습니다라고 말하고 그대로 행동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씨뿌리는 비유에서 예수님은 제자들과 무리들에게 돌밭에 뿌려진 씨앗을 이야기합니다. 자양분이 있어 그 씨앗은 자라기는 하지만 세상의 환란이나 박해가 올 때 곧 넘어지는 자를 예수님께서는 말씀하셨는데 아사왕이 바로 그러한 존재였던 것입니다.
    
그런즉 씨 뿌리는 비유를 들으라 아무나 천국 말씀을 듣고 깨닫지 못할 때는 악한 자가 와서 그 마음에 뿌려진 것을 빼앗나니 이는 곧 길 가에 뿌려진 자요 돌밭에 뿌려졌다는 것은 말씀을 듣고 즉시 기쁨으로 받되 그 속에 뿌리가 없어 잠시 견디다가 말씀으로 말미암아 환난이나 박해가 일어날 때에는 곧 넘어지는 자요 가시떨기에 뿌려졌다는 것은 말씀을 들으나 세상의 염려와 재물의 유혹에 말씀이 막혀 결실하지 못하는 자요 좋은 땅에 뿌려졌다는 것은 말씀을 듣고 깨닫는 자니 결실하여 어떤 것은 백 배, 어떤 것은 육십 배, 어떤 것은 삼십 배가 되느니라 하시더라(마 13: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