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주택으로 실용성에 미감을 더한 27.7평 단층스틸하우스
자연 속에서 건강한 생활,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생활, 마을 공동체적인 생활, 안전한 먹을거리의 자급자족 등 전원생활을 바라는 이유는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 후 가족 간 협의는 매우 중요한데 대개 남편이 주도해 도시생활이 몸에 밴 부인을 달래 전원으로 이주한다. 그런 점에서 천년고도千年古都경주에 스틸하우스를 짓고 밭을 일구며 전원에서 생활하는 박철수(54)·김혜경(52세) 부부의 경우 부인이전원행을 더 바란 보기 드문 사례이다. 아빠 몰래 전원행을 결심했다는 김혜경 씨. "울산에서 마트를 10여 년 운영하면서 생면부지生面不知사람들을 상대하는 게 무척이나 힘들었어요. 이젠 쉬고 싶다는 생각이 들자, 고향이 시골이라 그런지 전원이 그리워지더라고요. 어릴 적 추억을 하나하나 떠올리고 전원생활을 꿈꾸면서 아빠 몰래 전원행을 준비했어요. 아빠도 그런 제 마음을 헤아리고 전원행에 동참해 주셨죠." 경주는 김혜경 씨의 고향으로 새로 마련한 보금자리 부근에 친정이 있으며 가까이 언니네 가족도 산다. 입지를 경주에 정한 것은 김혜경 씨가 고향을 그리워도 했지만 무엇보다 박철수 씨의 고향인 울산과 1시간 거리고 늘 푸른 토함산이 한눈에 바라보이며 역사유적지구라개발여파가덜해공기가맑기때문이다. 부지는2011년중개업자소개로대垈,전田두필지를마련한다. 김혜경씨는그간사람에치여한적한곳을찾았는데딱맞춤한터라고. "외진 터임에도 마을에서 그리 멀지 않고 먼발치의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펜션이 들어서 적막하지 않아요. 원래 농가가 있던 터이기에 지목 변경 등 개발 행위 과정도 수월했고요. 거실 창밖으로 저 멀리 보이는 게 바로 토함산 주봉이고, 그 중간쯤에 희미한 게 석굴암 팔각정이에요. 이만하면 경관도 빼어난
좋은 집, 시공 업체 선정에서부터
안팎으로 호응하는 집
사용 빈도가 낮은 공간이 많으면 손이 많이 가기 마련이에요. 화장실은 안방과 공용 두 개가 필요하지만, 방은 애초 잘 사용하지 않는 작은 방은 빼고 안방 하나만 드리려고 했어요. 주된 생활공간인 거실을 제일 좋은 곳 전면에 두고, 그 뒤로 주방/식당을 앉혔어요. 거실 전면과 남측에 덱을 넓게 냈는데 마당과 밭으로 드나들기에도 채소를 다듬기에도 좋지만, 무엇보다 친지들이 많이 모일 때 여자들은거실에서남자들은덱에서머물기에여러모로쓰임새가많아요." 결혼 후 25년간 줄곧 아파트에서만 살다가 전원생활을 하면서 시간이 잘 간다는 박철수 씨. |
'집을짓자 > 집을짓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비 건축주를 위한 집짓기의 모든것 (0) | 2014.03.22 |
---|---|
전원주택 하자가 생기는 이유. 그리고 대처법 (0) | 2014.03.21 |
25.6평 두 집을 한 집처럼- 한 집을 두 집처럼 (0) | 2014.03.18 |
전원주택,지하수 개발하기 (0) | 2014.03.18 |
전원주택 부지 구입과 집짓기 절차 경험담 (0) | 2014.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