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충남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 김영미(31·본명 레 티후에)씨는 아이가 셋이다. 딸 둘(8살, 6살)에 막내아들(5)이 있다. 영미씨는 "손아랫동서가 아들을 낳았는데 시부모가 얼마나 좋아하는지"라며 한국의
남아선호 사상을 놀라워했다. "그랬는데 둘째도 딸을 낳은 거예요. 얼마나 실망을 했는지 몰라요." 영미씨는 "그래서 하나를 더 낳아 아들을 얻었다. 너무 좋았다"고 웃었다.
영미씨가
국제결혼으로 한국에 온 것은 2005년 3월이다.
베트남 남부 호찌민에서 멀지 않은 따이닌에서 농부의 1남3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현지 한국인 회사에 취직했다. 사장 딸과 어울리면서 한국어를 배웠다. 2년 후 그 회사를 그만두고 국제결혼 통역으로 일했다. 그때 남편 이병일(45)씨를 만났다.
"국제결혼을 하려고 베트남에 온 신랑이 '저 여자가 아니면 결혼 안 하겠다'는 거예요." 영미씨는 "그래서 얼떨결에 결혼했다"고 하더니 "신랑 첫인상이 좋았다"고 빙긋 웃었다. "한국 남자와 결혼은 꿈도 안 꿨다"는 그는 "(이것도) 인연이라고 생각했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남편 이씨는 7동의 비닐하우스에서 깻잎을 기른다. 논도 있고, 밭농사도 한다.
한국에 오니 베트남과 비슷하거나 다른 점이 있어 신기했다고 한다. 먼저 '12간지'다. 영미씨는 "베트남에도 띠가 있는데 한국과 순서가 같다"며 "다만 소는 '물소', 양은 '염소', 토끼는 '
고양이' 띠로 세 개만 다르다"고 재미있어했다. 사촌끼리 나이로 따져 '누나'나 '오빠'라고 부르는 것도 생소했다. 베트남에서는 부모형제 간 서열이 사촌 간 서열까지 결정한다. 영미씨는 "베트남에서 고등학교 다닐 때 아버지 누나인 고모의 네 살배기 아들에게 '오빠'라고 불렀다"며 함박웃음을 터뜨린 뒤 "사촌 간 서열은 한국이 맞는 것 같다"고 촌평했다.
영미씨는 남녀 학교가 따로 있는 것도 흥미로웠다. 베트남은 모두 남녀공학이다. 베트남도 추석·설 명절과 제사가 있지만 보고 싶은 사람을 불러 음식을 나눠먹으며 정담을 나누는 게 다르다고 영미씨는 전했다.
하지만 한국의 농사는 녹록지 않았다. 영미씨는 "베트남에서는 물을 빼낸 논에 새싹이 돋은 나락을 뿌려놓고 잡초 몇 번 뽑아주면 수확하는데, 한국은 모를 길러 일일이 손으로 심고…"라며 힘들다고 했다. 그래서 베트남 농사는 10월 말에서 12월 말 사이를 제외하고 3모작을 해도 크게 어렵지 않다고 했다. 영미씨는 "40도까지 올라가는 베트남에서는 아침 일찍 논에 나가 오전 10시쯤 집에 들어오고, 오후 2~3시에 다시 나가 저녁 때 모기가 들끓면 귀가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에서는 사시사철 깻잎 농사까지 지어야 해 더욱 힘들다고 했다.
영미씨는 "처음에는 임신한 상태에서 갓난아기를 업고 농사를 지으려니 여간 힘이 들지 않았다. '베트남으로 도망갈까'하고 수없이 결혼을 후회했지만 아이들이 자라는 걸 보면서 행복해졌다"고 귀띔했다. 아이들이 희망이라고 자랑한다.
큰딸 나영이는 금계초등학교 2학년이다. 같은 학년 6명 중 2명이
다문화가정 자녀다. 둘째 딸 규리와 아들 봉규는 금계초
병설 유치원에 다닌다. 셋이 집에서 200m쯤 떨어진 학교에 같이 등교한다. 영미씨는 "아이들이 친구들한테 '너희 엄마 베트남 사람이지'라는 놀림을 당할까 봐 요즘도 한국어를 열심히 공부한다"면서 "어려서인지 아직 따돌림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어대회에서 수차례 상을 받을 정도로 한국말을 잘한다.
그는 아이들이 오히려 친구들한테 엄마 자랑을 늘어놓는다고 전했다. '우리 엄마 베트남 사람인데 한국말 잘해. 이름도 한국 이름으로 바꿨어', '너희들 베트남 가 봤어', '베트남말 할 줄 알아'와 같은 것들이라고 했다. 영미씨는 아이들이 학교에 갈 때 베트남 과자를 만들어 들려보내기도 한다. 그녀는 "아이들이 집에 돌아와 '친구들이 베트남 과자 되게 맛있다고 해'라고 말하면 마음이 놓인다"고 조심스러운 심정을 내비쳤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아이 셋만 의사놀이 등을 하며 논다. 마을에 아이들이 없어서다. 영미씨는 "다른 마을에서 친구나 친척 또래들이 놀러 오면 아이들이 너무 좋아한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형편도 넉넉지 않아 여행 한 번 가지 못했다"고 미안해했다. 피아노나 영어 학원을 못 보내는 것도 늘 마음에 걸린다. 사실 한국에 시집 온 뒤 친정나들이도 딱 한 번뿐이었다. 3년 전 중매를 서 베트남에 갈 때 아이들까지 데리고 갔다. 영미씨는 "베트남에서는 한국에 딸을 시집보내면 '딸 덕에 비행기 탄다'고도 하지만 '딸을 팔았다'는 말도 많아 친정 부모를 생각하면 안쓰럽다"고 말했다. 두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하다. 그녀는 "친정 부모가 아프다는 소식을 들으면 바로 달려가려고 돈을 모으는데 잘 안 된다"며 "돌아가신 다음에 가면 뭐 하겠느냐"고 가슴 아파했다.
고향을 못 가는 그리움은 한국에 시집을 온 막내 여동생을 만나거나 전화통화를 하며 달랜다. 막냇동생은 영미씨가 셋째를 임신했을 때 하신리에서 여덟 달 동안 언니를 몸조리해주다 마을 청년과 눈이 맞아 결혼했다. 막내가 '농사짓기는 싫다'고 해 회사원을 골랐다. 막내도 네 살배기 딸 하나를 두고 대전 아파트에서 산다.
영미씨는 "한국 남자들이 처자식 먹여 살리려는 책임감이 강하다"고 평가했다. 남편 이씨도 자상하고 아이들과 잘 놀아준다. 그는 "사람들은 만난 지 얼마 안 돼 결혼하고 나이 차가 많아 사랑 없이 산다고 하는데 그렇지 않다"면서 "살다 보니 참사랑을 느낀다. 내 몫은 이만큼이다고 해야 행복해진다"고 나름의 생각도 전했다. 부부싸움이나
고부갈등도 거의 없다. 그래도 남편은 "저녁에 마실을 못 가게 한다"고 살짝 불평을 늘어놓았다. 동네 주민들이 만나면 "외국인 새댁이 많이 도망가는데 위암 걸린
시어머니 모시고 애들 셋 키우느라 고생한다. 장하고 고맙다"고 다독여 주는 것도 위로가 된다. 반면 한국에 시집 온 외국인 새댁이 살해됐다는 뉴스에 "돈 보고 왔으니 죽어도 할 말이 없지"라는 말을 들으면 마음이 무척 아리다고 영미씨는 찌푸렸다.
영미씨는 아침 6시 30분쯤 일어난다. 아이들에게 밥을 해 먹여 등교시킨다.
된장찌개 등 못하는 한국 음식이 없다. 오전 8시 30분쯤부터 저녁 때까지 깻잎을 딴다. 집에 돌아와 저녁을 해먹고, 빨래와 집 안 청소를 하다 보면 밤 10시가 넘어 잠에 든다. 매일 반복되는 일과다. 토요일만
시아버지(80)를 따라 교회에 잠깐 다녀올 뿐 쉴 틈이 없다.
그는 지난해 3월 국적을 취득하고 한국 이름을 지었다. '영미'라는 이름은 가장 듣기 좋아서고, 성은 이름과 제일 잘 어울려 붙였다고 했다.
사시사철 더운 나라에서 자란 그는 "겨울이 너무 춥다. 옷을 다섯 겹이나 껴입어도 그렇다"면서 "찬물에 손을 담그면 손톱이 빠지는 것 같다"고 했다. 봄을 가장 좋아한단다. 봄에 새싹이 돋는 것처럼 영미씨는 아이들에서 희망을 보면서도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중고교나 대학교에 가면 다문화가정 자녀라고 무시당하지 않을까, 취직할 때 또는 입사해서도 차별을 받지 않을까 하는 것들이다.
그는 "우리 아이들이 공부를 잘하지만 한국인 부부 자녀들을 계속 따라갈 수 있을까 하는 게 가장 큰 고민"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소망이 거창하지 않다. 영미씨는 "큰딸은 가수, 둘째 딸은 간호사, 아들은 소방수가 꿈이라고 엄마에게 말하곤 하는데 다른 거 없다. 그저 건강하고 자기 힘으로 살 수 있을 만큼만 자라준다면 더 이상 바랄 게 없다"고 말했다.
글 사진 금산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