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경우 뇌에서 진행 중 일 수도
미국 미주리주 워싱턴 대학교 수잔 스터크 박사팀은 지금까지는 넘어지고 비틀거리는 것이 치매 상태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판단했지만, 그와 달리 자주 넘어지는 것이 초기 치매 증상으로 볼 수 있는 뇌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스터크 박사는 65세 이상으로 인지능력이 정상이고 신체적으로 건강한 노인 119명을 대상으로 뇌의 사진을 촬영했다. 이들 중 18명은 알츠하이머라고 확신할 수 있는 뇌의 변화 즉, 독성물질인 아밀로이드 축적 수준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101명은 정상 수준의 아밀로이드 수치를 보였다. 뇌의 변화가 포착된 18명은 건강하고 기억력도 정상이었기 때문에 겉으로 보면 치매를 겪고 있는지 알아챌 수 없었지만 이미 뇌는 알츠하이머병이 진행된 상태였다.
연구팀은 이들을 1년 이상 장기적으로 넘어지는 횟수에 대해 추적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이들 중 3명에 1명꼴로 대개 매년 한 번씩은 넘어졌지만, 알츠하이머병의 진행 상태를 확신할 수 있는 아밀로이드 축적 수치가 높았던 18명은 실험 첫 8개월 내에 3분의 2가 넘어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스터크 박사는 “노인의 기억력이 정상이면 알츠하이머병이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지만, 예전보다 자주 넘어진다면 병의 초기 증상으로 볼 수 있다”이라며 “노인들의 잦은 낙상은 건강상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알츠하이머병을 초기에 치료하기 위해선 노인의 낙상 정도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파리에서 열린 ‘알츠하이머병학회 국제학술회의(Alzheim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에서 발표됐으며 과학논문 사이트 유레칼러트 등이 19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