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료/목회

유대인의 달력체계

맑은샘77 2010. 11. 4. 18:37

유대인의 달력체계

유대인들의 전통 달력인 “유대력”은 우리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쓰고 있는 달력인 “태양력”과 체계가 조금

다릅니다. “유대력”은 기본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음력과 비슷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태양력”은 기본적으로 1년을 365일로 계산하는 체계인데 반해,

“유대력”은 1년이 354일밖에 되지 않습니다. 정확한 1년(지구의 공전 주기) 곧 계절 변화 주기는 이렇게

정한 단순한 날수와는 어느 정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두 달력은 모두 몇 년에 한 번씩 날짜를 보정하게

되는데, “태양력”은 날수가 “하루” 더 많은 윤년을 4년마다 1번씩 두지만 “유대력”은 날수가 “한 달” 더

많은 윤년을 19년에 7번씩 둡니다. (그 추가된 “한 달”은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음력의 “윤달”과 같은

개념입니다.)

 

또 우리가 쓰는 “태양력”은 한겨울에 한 해가 시작하지만, “유대력”은 한 해가 시작하는 계절이 다릅니다.

유대력에 의해 구분된 달들 중 어느 달을 한 해의 시작으로 보느냐에 따라 “종교력”과 “민간력”이

나뉩니다.

유대력 중 “종교력” = 구약성경에 제시된 기본적인 달력으로서(레위기 23장 등), 한 해가 봄에 시작

          합니다. “종교력”에 의한 제1월은 성경에서 “아빕 월”(출 13:4) 또는 “니산 월”(에 3:7)이라고

          불리는 달인데, 우리가 쓰는 “태양력”으로는 3-4월에 해당합니다.

 

유대력 중 “민간력” = 구약성경에서 아주 예외적으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달력으로서(느 1,2장),

         한 해가 가을에 시작합니다. “민간력”에 의한 제1월은 “티쉬리 월” 또는 성경에서 “에다님 월”

        (왕상8:2)이라고 불리는 달인데, 우리가 쓰는 “태양력”으로는 9-10월에 해당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 드리자면,

“종교력”에 의한 열두 달의 이름은 순서대로

        “니산(1월), 이야르(2월), 시완(3월), 탐무즈(4월), 아브(5월), 엘룰(6월), 티쉬리(7월),

          헤쉬반(8월), 키슬루(9월), 테벳(10월), 스밧(11월), 아달(12월)”이고,

 

“민간력”에 의한 열두 달의 이름은 순서대로

          “티쉬리(1월), 헤쉬반(2월), 키슬루(3월), 테벳(4월), 스밧(5월), 아달(6월), 니산(7월),

           이야르(8월), 시완(9월), 탐무즈(10월), 아브(11월), 엘룰(12월) 입니다.”

결국 “종교력”과 “민간력”은 달력 체계 자체는 동일하지만 일 년 열두 달 중 어느 달을 “1월”이라고

         부르느냐의 차이일 뿐입니다.

 

유대월력

종교력

애굽력

바벨론식 명칭(새이름)

가나안

(옛이름)

  태양력

절 기

강우

기후형편/

농사관련

원어적 의미

제1월

  제7

 니산월(느2:1)(에3:7)

  아빕월

(출13:4,23:15,

34:18)(신16:1)

  3-4월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보리추수시작 

니산=그들의 비행,탈출

아빕(아비브)=갓 난 어린보리 이삭

제2월

  제8월

 이야르월

 시브월

(왕상6:1,37)

  4-5월

 환절기

보리추수

이야르=연다/시브(지브)=광채,꽃

제3월

  제9월

 시완월(에8:9)

 

  5-6월

칠칠절

  Ⅱ

   오순절

      밀추수

  이른무화과결실

포도원손질

시완(시반)=그들의 덮개

제4월

  제10

 담무스월

성경에 기록

없음

 

  6-7월

매우 덥고 건조

아침이슬많이내림

포도익음 

 타무즈(탐무즈)=생명의 싹

제5월

  제11

 아브월

 

  7-8월

감람(올리브)

열매익음 

아브=아버지, 갈대

제6월

  제12

 엘룰월(느6:15)

 

  8-9월

무더위지속

여름무화과,

대추야자익음

엘룰=무가치, 하찮음

제7월

  제1월

 티쉬리월

 에다님월

(왕상8:2)

  9-10월

나팔절

초막절

속죄일

거룩한 대회

밭갈이

석류익음 

티쉬리=처음,봉헌/

에다님(에타임)=영구적인

제8월

  제2월

 마르헤쉬완월

 불월

(왕상6:38)

  10-11

솔로몬

성전완공

 비가 많음

경작(보리,밀)

마르헤쉬완(마르헤쉬반)=제8월

불=증가하다,생산하다

제9월

  제3월

 기슬르월(느1:1),기슬래월(슥7:1)

 

  11-12

수전절

겨울시작(폭우)

   겨울무화과익음 

기슬르(키슬레브)=그의 확신

10

  제4월

 데벳월(에2:16)

 

  12-1월

가장추움,

최대강우량

들-꽃/높은산-눈

데벳(테베트)=선함

11

  제5월

 스밧월(슥1:7)

 

  1-2월

   날씨점차 따뜻해짐

살구꽃이 핌

스밧(쉐바트)=막대기,작은 가지,자손

제12월

  제6월

아달월(에3:7)

2-3월

부림절

간혹 천둥.우박

삼(아마) 벗김

감귤수확

아달(아다르)=영광스러운,빛나는

================================ 

 

유대인의 삶 >> 유대절기

유대력에서의 연대계산은 세상의 창조에서부터 출발한다.
유대학자들은 세상의 창조시기를 주전 3760년으로 계산했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양력을 유대력으로 바꾸면 3760년을 더해야한다. 정월을 ‘티쉬리’로 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2천 년 전부터 사용한 것으로 바빌론 포로생활에서 해방된 달을 기념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일설에 의하면 처음에는 성경에 기록된 대로 출애굽의 달인 ‘니산’을 정월로 지켜 왔었다고 한다(에스더3:7). 성경에 정월 초하루가 언급된 것은 단 한 번뿐이다(에스겔40:17). 그리고 윤년은 항상 ‘아다르’달에 넣어 윤 ‘아다르’라고 한다.

날짜를 가늠하는 시각도 우리처럼 밤12시가 넘으면 그 이튿날이 되는 것이 아니고 해가 지는 시각을 기준으로 오늘과 내일이 구분된다. 이것은 창세기 1장5절 말씀에 근거한 것이다 ”빛을 낮이라 칭하시며 어두움을 밤이라 칭하니라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날이니라". 그러므로 안식일을 포함한 모든 유대인의 명절은 해가 질 때 시작되어 다음 날 해질 때 끝나게 된다. 정부는 공공기관의 모든 행사에서 공식적으로 유대력을 사용하도록 법제화시켜 놓았기 때문에 모든 국경일이나 공휴일도 유대력과 유대명절을 따라 정해져 있다. 유대인들이 지키는 휴일과 명절은 현재 ‘욤 샤밧’이라 불리우는 안식일과 9개의 명절이 국경일로 지켜지고 있으며 ‘욤 샤밧’은 매주 맞는 휴일로 문자 그대로 ‘안식하는 날’ 이다.  


■ 유대력과 성경력 / 태양력의 비교

현대유대력 ( 성서상최초유대력 )* 태양력
히브리어발음
관련성구

1 월 (7 월 ) *9-10 월
티쉬리
왕상 8: 2

2 월 (8 월 ) *10-11 월
헤시반
왕상 6:38

3 월 (9 월 ) *11-12 월
키슬레브
슥   7: 1 왕상 6:1 느 1:1

4 월 (10 월 ) *12-1 월
테벳
에스더 2:16

5 월 (11 월 ) *1-2 월
쉬밭
슥 1: 7

6 월 (12 월 ) *2-3 월
아다르
에스더 3:7 , 13/ 8:12 , 9:1 ,15,17 에스라 6:5

7 월 (1 월 ) *3-4 월
니싼
에스더 3:7 느 2:1

8 월 (2 월 ) *4-5 월
이야르
왕상 6:1

9 월 (3 월 ) *5-6 월
시반
에스더 8:9

10 월 (4 월 ) *6-7 월
타무즈
  

1 월 (5 월 ) *7-8 월
아브
  

12 월 (6 월 ) *8-9 월
엘룰
느 6:15

 

========================================= 

달과 태양의 주기를 기초로 한 종교력(宗敎曆)과 민력(民曆) 체계.
오늘날 사용되는 유대력에는 하루를 일출부터 일몰까지, 1주일을 7일로, 1개월을 29일 또는 30일로, 1년을 12개월 11일로, 즉 353~355일로 계산한다. 달력을 태양의 1년 주기와 맞추기 위해 19년 주기 가운데 3·6·8·11·14·17·19번째 해에 13번째 달(30일)을 윤달로 넣는다. 그러므로 윤달이 낀 해는 383~385일이 된다. 오늘날 사용되는 유대교 연대는 9세기경에 널리 받아들여진 것으로, 창조를 3761년으로 잡는 성서 계산법에 토대를 둔 것이다.
1년을 이루는 달의 이름은 바빌로니아 용어에서 유래했다. 달은 종교 용례에 따라 배열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즉 니산(Nisan:서양 그레고리력의 3~4월), 이야르(Iyyar:4~5월), 시반(Sivan:5~6월), 타무즈(Tammuz:6~7월), 아브(Av:7~8월), 엘룰(Elul:8~9월), 티슈리(Tishri:9~10월), 헤슈반(Ḥeshvan : 또는 마르헤슈반[Marḥeshvan:], 10~11월), 키슬레브(Kislev:11~12월), 테베트(Ṭevet:12~1월), 셰바트(Shevaṭ:1~2월), 아다르(Adar:2~3월) 순이다. 윤년의 13번째 달 아다르 셰니(Adar Sheni) 또는 베 아다르(ve-Adar)는 아다르 앞에 오며, 평년의 아다르 달에 거행하던 종교의식을 이 달에 거행한다. 정력(政曆)은 티슈리 달에 시작하며, 그 달의 초하루는 로시 하샤나(Rosh Hashana:신년절)라는 축일이다. 십계명에서 유일하게 언급되는 유대교 절기인 안식일(사바트)은 1주일 가운데 7번째 날(토요일)에 지키며, 하느님이 창조를 마치고 쉰 날, 역사 속에서 하느님의 역할, 하느님이 유대인과 맺은 계약을 기념한다. 유대인들은 가정과 회당에서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고, 노동을 피하고, 예배와 연구에 전념해야 한다.
종교력의 1년 주기는 니산 월 15~22일에 페사흐(Pesaḥ:유월절)와 함께 시작된다. 유월절은 축일 기간에 노동을 금지하는 이른바 중요한 절기들 가운데 하나이며, 고대에 모든 남자들이 성전에 가서 종교의식에 참여해야 했던 3대 순례절 가운데 하나이다. 이 절기에는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에서 종살이를 하다가 그곳을 탈출해 나온 사건(Exodus:출애굽)을 기념한다. 이 절기에 유월절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출애굽 전날 밤에 하느님이 이집트에 10가지 재앙을 내릴 때 이스라엘 민족 각 가정에 그 재앙이 '지나갔기'(逾越) 때문이다. 종교력에서 그 다음에 오는 큰 절기는 샤부오트(Shavuot:칠칠절 또는 오순절)로서, 시반월 6~7일에 지킨다. 순례절 가운데 2번째 절기이며, 하느님이 시나이 산에서 토라를 계시한 날을 기념한다. 고대에 페사흐를 샤부오트와 구분해준 7주간의 추수기간인 7주에서 딴 명칭이다. 10일간의 속죄일(티슈리월 1~2일의 로시 하샤나에서 시작하여 티슈리월 10일의 욤 키푸르[Yom Kippur:속죄일]에 끝남)은 전인류에 대한 심판의 날들이다. 로시 하샤나에는 엄격한 노동 금지와 그외 규율들을 부과하지만, 회당예배 때 쇼파르(shofar:어린 양의 뿔)를 부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축하행사도 이 절기의 한 요소이다. 욤 키푸르는 1년 중 가장 엄숙하고 거룩한 날이다. 이 날은 하루종일 기도와 금식(禁食)으로 보내며, 죄를 고백하고, 하느님과 화해한다. 이 날의 마지막 기도의식은 쇼파르를 부는 것으로써 끝난다.
주요절기들 가운데 마지막이자 3번째 순례절은 수코트(Sukkot:장막절 또는 초막절)로서, 티슈리월 15~21일에 지키며,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를 탈출한 뒤 방랑하던 일을 기념한다. 이 명칭은 이스라엘 민족이 방랑기간에 지내던 장막에서 따온 것이다. 이 절기를 마감하는 날인 셰미니 아체레트(Shemini Atzeret)는 티슈리월 22일에 갖는 독립된 축일로 간주한다. 1년 주기로 토라를 공식낭독하는 일을 마감하는 의식인 심하트 토라(Simhat Torah:율법을 즐거워함)는 셰미니 아체레트나 그 다음날에 거행한다. 이 기간은 즐거운 축제와 의식으로 진행된다.
유대력에는 연속되는 작은 절기들(이 날들에는 노동을 금지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붙었음)과 금식일들도 들어 있다. 하누카(Ḥanukka:봉헌절)는 유대인들이 셀레우코스 왕조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에 대해 반란을 일으킨 사건과 BC 164년 성전을 다시 봉헌한 날을 기념한다. 이 절기는 키슬레브월 25일부터 시작하여 8일간 기념하며, 촛불을 켜두고 잔치를 벌이고 노래를 하며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준다. 푸림(Purim:부림절)은 BC 5세기 페르시아에 살던 유대인들이 박해를 면한 날을 기념한다. 이 절기 동안에는 회당에서 〈에스델〉을 낭독하고 잔치를 벌이며 가면극과 부림절 연극들을 공연한다.
5번의 금식일은 유대 민족의 역사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들을 기념한다. 시바 아사르 베 타무즈(Shiva ⁽Asar be-Tammuz:타무즈월 17일의 금식), 티샤 베 아브(Tisha be-Av:아브월 9일의 금식으로 BC 586년의 제1차 성전파괴와 AD 70년의 제2차 성전파괴를 기념함), 촘 게달리아후(Tzom Gedaliahu:티슈리월 3일), 아사라 베 테베트(⁽Asara be-Ṭevet:테베트월 10일의 금식), 타아니트 에스테르(Ta⁽anit Esther:에스델의 금식으로 아다르월 13일) 등이 그것이다. 그밖에도 대개 학교 절기로 지키는 라그 바 오메르(Lag ba-Omer:이야르월 18일)와 오늘날 이스라엘에서 식목행사와 관련된 투 비 셰바트(Ṭu bi-Shevaṭ:셰바트월 15일)도 절기로 지킨다. 1948년 현대 이스라엘 국가가 수립된 이래 유대교 달력에는 대학살일(Holocaust Day:니산월 27일), 기억의 날(Remembrance Day:이야르월 4일), 독립일(Independence Day:이야르월 5일) 등 3가지 절기가 덧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