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15~64세 경제활동인구 70만↓
"4차 산업혁명 대비 안하면
일자리 48만개 사라질 것"
2028년까지 노동시장에서 일하거나 구직활동을 하는 경제활동인구 중 65세 이상은 작년 대비 194만 명 늘어나는 반면 청년·중장년층(15~64세)은 70만 명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규제개혁 같은 적극적인 준비를 하지 않으면 약 48만 개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고용노동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의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10년 단위의 미래 고용시장 전망을 담은 이 보고서는 정부가 2007년부터 격년으로 발표하고 있다.

9년 후 생산가능연령 260만명 줄어든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8년 15세 이상 전체 인구는 4609만1000명으로 2018년(4418만2000명)보다 190만9000명 늘어나지만 생산가능 연령인 15~64세는 259만6000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체 인구로 봤을 때 65세 이상이 450만5000명 늘어나는 셈이다. 같은 기간 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이 123만8000명 증가하고, 이 중 15~64세는 69만9000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노동시장 울타리 안의 65세 이상 인구가 193만7000명이나 늘 것이라는 얘기다. 고용부 관계자는 “2022년부터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15~64세 인구의 감소가 시작되고 감소폭도 점점 커질 전망”이라며 “고령화가 심해지면서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입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종별 전망을 보면 서비스업 주도의 취업자 증가가 예상됐다. 2028년까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5만 명), 숙박·음식점업(+13만 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3만 명), 정보통신업(+12만 명) 등이 취업자 증가를 주도할 전망이다. 제조업은 같은 기간 약 6만5000명의 취업자 수 증가가 예상됐지만 세계경제 성장률 둔화, 산업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추정됐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학력별 취업·인력난 예상도 나왔다. 고용부는 2028년께 산업현장에는 고졸자 대상 60만 개, 대졸자 대상 45만 개가량의 일자리가 남는 인력난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전문대졸자의 경우 기술 발전에 따른 중간숙련 수요가 줄면서 약 64만 명의 인력이 초과 공급돼 취업난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고용부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규제 개혁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기준전망’(현상유지)과 ‘혁신전망’(개혁)으로 구분해 각각 취업자 수를 전망한 결과 2035년에는 약 48만 개의 일자리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