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의 수요일'과 복음의 선포 | ||||||||||||
이야기가 있는 예배와 목회<3> | ||||||||||||
| ||||||||||||
사순절의 첫날을 '재의 수요일'이라도 부른다. 요즘 들어 이 날에 재를 이용한 특별 의식을 행하는 교회들이 늘고 있다. 이것은 세계교회의 동향이며 특히 북미 교회들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북미에서는 설교 중심의 예배를 드리던 개혁전통들이나 심지어 침례교단들까지도 이 의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데, 재의 수요일 의식이 끝나면 이 재를 가지고 거리로 나가 회개를 외치며 복음을 전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종교개혁자들 대부분이 이 의식을 더 이상 보존하지 않은 이유는 분명치 않으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며 루터교를 비롯한 개신교 주류 교단들이 에큐메니칼 차원에서 각 교단의 신학적 입장을 반영하며 이 의식을 재건하고 발전시키며, 교단 예식서에 포함시켰다. 미국 장로교(PCUSA) 예식서의 번역서인 '공동예배서'에서 그 의식을 만나볼 수 있다. 공동체의 이야기를 담기 위해 주로 종려주일 행진에 사용했던 나뭇가지들을 모두 거두어 같은 화로에서 재로 만든다면 보다 교육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재의 색상은 짙은 것이 좋으며, 머리 위에 뿌리거나 올리브기름과 섞어 이마 위에 십자가를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혹은 손 등이나 바닥 등에 표시하거나 소량의 재를 나눠줄 수도 있다.
한편 '재의 수요일' 기도회에서 사회공동체적 차원의 죄도 함께 고백하여 개인적 차원의 회개를 넘어서서 하나님의 공의를 구하는 회개의 시간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김명실 목사 / 장신대 초빙교수 | ||||||||||||
'목회자료 > 목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종교인들에게 기독교 호감 10% 불과한국갤럽 "한국인의 종교 1984-2014 (1) 종교 실태" 보고서 (0) | 2015.01.31 |
---|---|
한국교회의 방언, 정말 100% 가짜일까? (0) | 2015.01.24 |
교회 학사관 세금폭탄.."어려운 학생들 도왔을 뿐인데" (0) | 2015.01.23 |
교회를 처음 방문한 사람의 입장에서 듣는 10가지 충고 (0) | 2015.01.19 |
늙어가는 교회 텅빈 청년부, 왜? (0) | 201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