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일반/책을잡자

한국이 일본을 22년 늦게 따라가는 이유-[Book]'2018 인구절벽이 온다'

맑은샘77 2014. 12. 14. 09:06

한국이 일본을 22년 늦게 따라가는 이유

[Book]'2018 인구절벽이 온다'

머니투데이 박진영 기자 |입력 : 2014.12.13 05:37|조회 : 9865
한국이 일본을 22년 늦게 따라가는 이유
"2018년 한국은 인구절벽 아래로 떨어지게 될 것이다."

일본의 장기 디플레이션 탈출을 위해 공격적으로 추진된 '아베노믹스'가 최근 실패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아베 정권 출범 직후 3개월간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6.7% 성장했지만 지난 2분기와 3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으로 되돌아왔다.

해리 덴트의 신간 '2018 인구절벽이 온다'를 살펴보면 이는 예상된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구감소 문제 해결 없이 통화·재정적 정책만으로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없다는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경제예측 전문기관인 '덴트연구소' 창업자인 해리 덴트는 각국의 인구구조 변동 지표를 살펴 수십년간 세계 주요 경제의 호황과 불황을 예측해왔다. 연도별 출생인구수를 가계 소비가 평균적으로 정점에 이르는 시점, 즉 출생 후 46년으로 잡아 경기 변동을 전망하는 것이다. 이 지표에 따라 그는 일본 경제가 1989년에 붕괴하기 시작할 것이란 것을 이미 예견했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한국은 일본의 경기 추이를 22년 늦게 따라가게 된다. 일본에서 출산인구가 가장 많았던 해는 1949년이고 한국은 1971년으로 정확히 22년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2018년은 한국 출생 인구수가 정점을 찍은 1971년에서 정확히 47년 뒤다. 출생자수가 가장 많았던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가 정점을 찍는 해다. 그가 2018년부터 한국이 '인구절벽' 과 '소비절벽' 아래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한국 정부가 '코 앞'으로 다가온 위기를 제대로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그는 지적한다. 일본도 1997년 이후 17년간 양적완화 정책을 추진하고 대규모 재정적자를 감내하며 돈을 썼지만 일본 경제는 여전히 혼수상태다. 통화적, 재정적 부양책만으로는 사태의 본질을 해결할 수 없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이민자를 유입시키고 퇴직시점을 미루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이 조차 실행이 어렵고 단기적인 조치일 뿐이다. 결국 출산율 제고를 통해 인구구조 자체를 바꾸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고 저자는 진단한다.

그는 이밖에도 이후 한국 경제에 대한 끊임없는 '비관론'을 내놓는다. 부동산 시장은 2013년 정점을 찍고 가격이 하락하는 일만 남았다고 말했다. 향후 수십년간 신규주택 매수자보다 사망자가 더 많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기 버블도 큰 위험요인으로 지목된다. 버블이 터질 경우 한국의 코스피는 920까지 추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책 전반에 걸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세계 경기 흐름, 일본의 식물경제와 중국의 버블경제, 공공부채와 민간부채 문제, 부동산 가격하락, 투자 및 기업 전략 등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한국의 독자들에게는, 2018년 가장 위험하고 피할 수 없는 '인구절벽'이 도래할 것이라고 거듭 경고한다.

◇2018 인구절벽이 온다=해리 덴트 지음, 권성희 옮김, 청림출판, 1만7000원.

[박진영 기자 트위터 계정 @zewapi]

박진영 jyp@mt.co.kr  | 

머니투데이 JYP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