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4/10_cafe_2007_12_27_08_59_4772ea01e12fb)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4/9_cafe_2007_12_27_08_59_4772ea768afc6)
.
◇ [약용식물] 비수리(야관문)-천연 비아그라
야관문은 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이다. 한자로는 절엽철소추, 삼엽초 라고도 불린다. 야관문은 밤에 빗장을 열어주는 약초라는 뜻이니 그 뜻이 예사롭지 않다. 이것을 먹으면 천리 밖에서도 빛이 난다고 하여 천리광, 큰 힘이 난다 하여 대력왕 등으로 촌로 등 사이에서 불리기도 한다.
야관문은 그러나 흔한 풀이다. 산기슭이나 황폐한 땅, 도로변 언덕 절개지 등에 흔히 볼 수 있는 잡초라고 볼 수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서로 갈라지며 크기는 높이가 1m 정도. 잎은 3출 복엽으로 서로 어긋나고 잎모양은 쐐기형이고 끝은 둔하다.
꽃은 1~4개가 잎겨드랑이에 나며 꽃자루는 매우 짧다. 작은 꽃떡잎은 달걀 모양. 꽃받침은 길이가 3~4㎜이고 5개로 깊게 갈라진다. 꽃부리는 나비모양이고 황백색이며 자색 반점이 있는 것도 있다.
기판은 타원형이고 갈고리를 갖고 있으며, 수술은 10개이고 2묶음으로 되어 있고,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안쪽에 구부러져 있다.
약용으로 사용되는 뿌리는 새끼손가락 굵기로 수십~수백개가 한꺼번에 지표면에서 1m정도까지 깊고 넓게 퍼진다. 각 뿌리마다 작은 실뿌리가 함께 나 있어 야관문이 거친 땅에서도 힘차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운다.
연구결과 야관문에는 피니톨, 후라보노이드, 탄닌, 베타시토스테롤, 큐엘세틴, 캄페롤, 비텍신, 페놀성성분, 알콜성 특수물질등이 있어 남성의 강장효과와 각종 질병의 약효를 나타내고 있다. 간이나 신장을 보양하고 몽정 음위증을 치료하여 기력을 회복시켜 주며, 백대하, 천식, 진해거담, 위염, 설사, 타박상, 시력감퇴, 눈의 충혈, 종기, 항균작용, 당뇨병, 이뇨, 요통, 살충, 독사교상 등에도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다.
야관문은 맛이 약간 쓰고 매우며 약성은 따뜻하고, 약간 시원한 성질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독성이 없기 때문에 복용방법도 여러가지가 있다.
민간요법으로 유정이나 몽정 조루증 증세에 야관문 전초를 썰어서 돼지고기와 함께 생강을 조금 넣고 푹 고아서 먹으면 아주 좋은 효과를 볼수 있다. 당뇨병에는 야관문에 닭고기와 대추를 넣고 푹 고아 먹으면 물이 많이 켜이고 소변이 많던 것이 조절되어 당뇨병 치료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옛 본초서인 「민동본초」에서는 간과 폐를 돕고 신장과 음허(날마다 오후에 춥고 열이나는 병을 이름)를 자양하여 야맹증, 도한 허약하여 잠자는 동안에 나는 식은 땀), 유정·성행위 없이 자기도 모르게 정액이 나오는 일), 요통을 치료한다고 기록해 놓고 있다. 야관문의 약리작용은 동물실험에서도 진해거담, 천식, 자궁에 대한 작용, 항균작용 등이 밝혀져 약효가 입증된 바가 있다.
야관문은 꽃이 필 무렵인 8~9월에 뿌리를 채취하여 잘게 쓸어서 햇볕에 말리거나, 생것을 그대로 약용으로 사용한다.
가장 쉬운 사용법은 술로 우려내는 방법이다. 야관문은 차로 달여 마시는 것보다 술로 우려내는 방법이 특히 효과가 있어, 흔히 술로 우려내어 마신다.
35도이상 되는 증류주에 야관문을 술 양의 1/3쯤 넣고 3개월쯤 우려 내어 한 잔씩 마신다. 이렇게 하루에 한잔씩 마시면 신장기능이 허약한 노인들의 양기부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야관문으로 여러 질병 고치기
1. 간열로 눈이 침침하고 눈이 충혈된 데 : 야관문 40그램과 꿀 약간에 물 1리터를 붓고 약한 불로 한 시간 가량 달여서 하루 두세 번에 나누어 밥 먹고 나서 먹는다. 혹은 가을철에 야관문 씨를 받아 가루 내어 한 번에 4-5그램씩 먹거나 가루를 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야관문을 오래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눈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2. 설사, 급성위염 : 야관문의 뿌리, 잎, 줄기 말린 것 100그램을 잘 게 썰어 물 1.2리터에 넣고 200밀리리터가 되게 농축하여 고운 천으로 거른다. 이것을 3-5시간마다 어른은 50밀리리터씩, 아이나 노인, 허약한 사람은 어른 양의 반이나 3분의 2쯤으로 줄여서 계속 먹는다. 하루나 일주일 사이에 대개 낫는다.
3. 당뇨병 : 야관문 30~50그램에 오골계 살코기를 적당하게 넣고 은근한 불로 푹고아서 먹는다. 아니면 하루에 말린 야관문 40~80그램에 물 한되를 붓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수시로 차 대신 마신다. 야관문은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추는 데에도 상당한 효력이 있다.
4. 기력부족, 허약체질 : 야관문 뿌리 40~80그램, 꿀 30그램에 물 1리터를 붓고 약한 불로 달여서 하루 두세 번에 나누어 먹는다. 야관문 씨를 가루내어 한 번에 4~5그램씩 하루 두세 번 먹어도 좋다.
5. 신경쇠약 : 야관문 뿌리 30-40그램에 물 한 되를 붓고 절반이 되게 달여서 하루 두 번에 나누어 먹는다. 야관문은 신경쇠약에도 좋은 효험이 있다.
또 기관지염으로 고생하는 사람은 말린 야관문 800g에 물 18ℓ를 붓고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1ℓ쯤 되게 농축하여 설탕을 약간 넣고 한번에 50 ㎖씩 아침, 저녁으로 하루 두번 식사 후 먹는다. 10일동안 복용하면 3~4일 후에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한 10일 정도 지나야 조금씩 효과가 나타나는 사람도 있다.
6 . 기관지염으로 고생하는 사람은 말린 야관문 800g에 물 18ℓ를 붓고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1ℓ쯤 되게 농축하여 설탕을 약간 넣고 한번에 50 ㎖씩 아침, 저녁으로 하루 두번 식사 후 먹는다. 10일동안 복용하면 3~4일 후에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한 10일 정도 지나야 조금씩 효과가 나타나는 사람도 있다
7. 독사에 물렸을 때도 야관문과 가화생(이과산녹두)을 같은 양으로 햇볕에 말려 갈아서 낸 가루에 전분을 약간만 넣어 압축하여 만든 정제(1정에 생강 0.3g 함유되게 한다)을 먹는다. 이것은 1회 2~3회, 1회 15~20정을 따뜻한 물에 복용하고, 또 이것을 물어 개어 풀 형태로 만들어 독사에 물린 상처에 1일 1~2회 갈아 붙여 촉촉한 상태로 유지하면 상처를 치료할 수 있다.
약을 먹는 동안 일종의 명현반응으로 현기증이 나거나 속이 메스꺼우며 구토가 나고 설사를 하며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입안이 허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며칠 지나면 저절로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