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세상 읽기

2013년 전국인구,

맑은샘77 2013. 6. 25. 19:55

 

2011년 전국인구지도, 2013년 인구지도는 안나오네요 어려운것도 아닐텐데,

대한민국 2013년 3월 현재 주민등록 인구는 200만명정도 늘어난,

51,003,843명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54,919명 많습니다

(여자 - 남자 = 과부족) 

남녀편차가 전국적으론 여자부족한데 서울은 117,481명이나 여자가 많고 경기도는 여자가 88,634명 부족합니다,

 

대한민국 인구 연령별 남녀 그래프를 보면, 젊은여자는 부족하고 가임기이후 폐경여성은 많다는걸 알수있고,

대한민국 2013년3월 현재 평균나이와 연령별 여성 부족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산전 태아 남,녀 감별 알려주는 의사가 있다면 사형 입법 건의합니다,

그놈때문에 내가 장가 못간거 같아요 ^^*

 

제2절 혼인의 성립

   제807조 (혼인적령) 관련판례관련주석관련사례
만 18세가 된 사람은 혼인할 수 있다.
[본조제목개정 2007.12.21]
[전문개정 2007.12.21]
제808조 (동의를 요하는 혼인) 관련판례관련주석관련사례
①미성년자가 혼인을 할 때에는 부모의 동의를 얻어야 하며,

  부모중 일방이 동의권을 행사할 수 없는 때에는 다른 일방의 동의를 얻어야 하고,

  부모가 모두 동의권을 행사할 수 없는 때에는 후견인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집계 시간편차가 있어 2012년 결과를 2013년 4월 현재도 볼 수 없어 2011년 결과를 참조하면,

이혼자 포함한 전체 결혼 현황 첫번째표를 보면 남29세 여29세가 가장 많이 결혼했고,

이혼 후 재혼 시기가 40~50대에 주로 이뤄집니다,

 

 

남녀가 구분되는 이유는 출산하기 위해서죠, 

 

제발 나라를 위해서 30살전에 출산합시다 ^^;;

15~19 통계는 아마 만18살인 19살 통계인듯합니다,

 

결혼과 출산을 종합한 2011년 결과를 보면, 

군복무 21개월로 남자 초혼연령이 여자에 비해 2살 늦고,

만38.7세 = 39.7세 = 2년전 37.7세 인구 그래프를 보면,

연평균0.5살씩증가하는 인구 고령화 현상이 인구 감소 시기를 늦추고있을뿐, 

인구감소는 필연이지만, 연령별 인구의 큰 축인 50살인구가 사망하기 시작하는 10년후 또는,

다른 비슷한 규모 인구축인 30살이 50살되는 20년후가 대한민국 인구 감소 시점입니다,

군복무 병력부족현상은 10년후부터 나타날듯하고 해결책은?

여군입대, 복무기간연장, 장기직업군인 모병제 예산확보, 남북화해 5가지 정도죠,

 

2013년 3월 대한민국 주민등록인구 그래프를 보고 느낄 수 있는건, 

베이비붐 세대라는 58년 개띠부터 61년생 53살까지 그래프를 보면,

남자수명 60살을 기점으로 이미 죽었거나 죽고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인구는 출산-사망=22만명 자연증가중입니다,

1년마다 한살씩 60대 구간으로 진입하니까 연15만명정도 더 사망한다해도 인구는 7만명 증가하죠,

인구 유지 뒷받침되는 출산률이 인구감소가 예상되는 20년후에도 현재와같다면 인구감소는 필연이지만,

10년이면 강산도 변하는데 20년후엔 출산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바뀔진 아무도 모릅니다.

=============================================================================================================== 

만18살,19살~50살을 가임기 여성 서울시분포,

서울시 역시 가임기 여성은 똑같이 부족한데, 24~28세 여성은 남아도는 편 ^^;;

 

서울시 각구청별 남녀 비율을보면 참 답답한 동네 많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