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 마감은 이렇게 하면 좋다.]
![](https://i1.daumcdn.net/fn/image/estate/2008/dummy/icon_gold.gif)
전원주택 마감은 이렇게 하면 좋다. 주택 전체 분위기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외부 디자인에 있다. 사이딩이나 지붕 형태 외에도 포치의 모양, 데크 크기와 위치, 정원 어프로치 등 외관의 디자인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집의 분위기는 달라진다. 자신이 원하는 주택의 설계를 위해서 건축주는 외부 공간의 다양한 요소들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생소하지만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외부 공간 용어에 대해 알아본다. 내·외부를 연결하는 공간으로 그 모양이 배의 갑판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주로 방부목이 사용된다. 데크의 기능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는 테라스, 베란다, 발코니, 포치, 퍼걸러, 선룸, 선큰 등이 있다.
비가 온 후라도 곧 사용 할 수 있게 만들어진 실내와 옥외를 연결시키는 바깥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지붕이 없고 실내 바닥보다 낮게 설계된다. 타일, 콘크리트 블록, 나무 등으로 조성한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을 놓거나 의자를 두어 일광욕을 즐길 수 있게 한다. 외부로 연장시킨다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지붕은 없고 난간이 있으며 보통 2층 이상 건물에 설치된다. 권력자가 군중 앞에 모습을 나타내는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지붕과 난간이 붙은 공간이다. 발코니와 자주 혼용되고 있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차이가 있다. 1층의 지붕 부분이 남게 되는데 이를 활용해 공간을 꾸민 것이 베란다이다. 2층 거실을 좀 더 넓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휴식이나 일광욕을 위한 장소로도 이용된다. 나무,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이용해 가로, 세로로 짜서 만든다. 여름에는 시원하고 분위기 있는 휴식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지붕을 가지고 있으며 건축적으로는 현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이다.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유리로 만든 곳을 의미한다. 천창과 측창이 모두 투명한 유리로 둘러싸인 선룸은 집안의 채광과 통풍을 원활하게 한다. 공간을 말한다. 빛의 유입이 많아져 낮아도 특별한 조명 없이도 무난하게 생활할 수 있다. 거실을 이용한 선큰 리빙룸과 선큰 가든이 일반적이다.
주택 둘레를 막거나 경계를 구분하는 자재. 목적으로 사용되며 목재, 철재, 생울타리 등 집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의미하거나 화단, 정자, 연못 등을 연계해 주는 길을 뜻하기도 한다. 사용되며 그에 따라 시공법도 다양하다.
왔지만 최근에는 주택이나 상가 건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자연광이 들어와 공간 곳곳에 빛이 고루 닿게 된다.
투명하게 만들어진 벽면이다. 꾸미기도 하며, 행잉 바스켓 같은 작은 화분이나 정원 용품 등을 걸어두어 꾸밀 수도 있다.
주차공간이 협소할 경우 주차장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주로 빌라 등에 설계된다. 또 경사진 대지에 주택을 지어야 할 경우, 경사지를 그대로 살리기 위해 필로티 구조를 이용하기도 한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집을짓자 > 집을짓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재료별 열성능 예 (0) | 2013.06.14 |
---|---|
두 아들을 위해 지은 미니멀 하우스 (0) | 2013.06.14 |
황토벽돌사이 숯이 있는 전원주택 (0) | 2013.06.14 |
황토 벽돌로 건축한 26평 퓨전한옥 감상하세요 (0) | 2013.06.14 |
실패에서 배우는전원주택 짓기 노하우 (0) | 2013.06.14 |